휴메딕스 개요
휴메딕스는 '히알루론산 응용 원천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산업에 적용 가능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히알루론산은 뛰어난 수분 흡수력을 지니고 있어 촉촉하고 탄력 있는 피부 유지에 효과적입니다. 이를 활용해 휴메딕스는 에스테틱 사업과 CMO(의약품 위탁 생산 서비스) 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부문
1. 에스테틱 사업
에스테틱 사업은 필러, 보툴리눔 톡신, 화장품 등을 포함하며,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필러 사업: 2021년 12월부터 본격적인 해외 사업부를 신설하며, 중국을 시작으로 브라질, 이라크 등으로 수출을 확대했습니다. 향후 태국과 베트남 등 동남아 시장에서도 성장세를 보일 전망입니다.
- 보툴리눔 톡신: 휴메딕스는 보툴리눔 톡신 기반 제품도 보유하고 있으며, 에스테틱 시장 내 입지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 화장품 및 기타 뷰티 제품: 최근 '엘라비에멜라 리턴 기미 쿠션'이 최유라 쇼에서 단 1시간 만에 8억 원 이상의 매출을 기휴록하며, 브랜드 인지도를 높였습니다.
2. CMO(의약품 위탁 생산 서비스)
휴메딕스는 의약품 위탁 생산 서비스(CMO) 사업도 적극적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주요 생산 품목으로는 전문의약품, 관절염 치료제 등이 있으며, B2B(기업 간 거래) 형태로 국내외 제약사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 골관절염 주사제 '휴미아': 대만 식품의약국(TFDA) 허가를 획득하였으며, 기존 치료제 대비 1회 투여 방식으로 환자의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유럽 CE 인증도 획득하여 해외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최근 이슈 및 성장 전망
1. 필러 수출 확대로 수익성 개선
- 수출국 확대: 기존 중국, 브라질, 이라크에 이어 2025년에는 태국과 베트남으로 필러 수출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 매출 기여도 증가: 필러 수출 매출 기여도는 2023년 17%(381억 원)에서 2025년 28%(528억 원)까지 상승할 전망입니다.
- 브라질 바디 필러 허가 기대: 바디 필러는 안면 필러(평균 3cc) 대비 평균 60cc가 필요하여 시장성이 높습니다.
2. 지속적인 해외 시장 개척
휴메딕스는 2021년 12월 '해외 사업부'를 신설한 이후, 19개국으로 수출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현재 동남아 시장 진출과 미국 FDA 허가를 위한 임상 준비도 진행 중입니다.
재무 현황 및 분석
손익계산서 (단위: 억 원)
매출액 | 1,523 | 1,244 |
영업이익 | 373 | 330 |
당기순이익 | 248 | 280 |
- 3분기 실적 감소 원인: 필러 및 보툴리눔 톡신 등 에스테틱 사업 부문의 영업조직 개편으로 일시적 감소
- 회사의 입장: 중장기적 성장을 위한 과정이며, 4분기부터 실적 정상화 기대
현금흐름표 (단위: 억 원)
구분 | 2023.12 | 2024.9 |
영업활동 | 309 | 354 |
투자활동 | -155 | -86 |
재무활동 | -258 | -97 |
- 안정적인 현금흐름 유지
주요 재무 지표
- 추정 PER: 11.25
- PBR: 1.69
- ROE: 17.07%
- 부채비율: 낮음
- 이자보상배율: 25.8
- 주당배당금: 525원 (배당수익률 1.3%, 배당성향 21.61%)
주가 및 투자 인사이트
주가 흐름

- 2024년 11월 저점을 기록한 후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4분기 실적 개선이 기대됨
- 2025년 이후 해외 시장 진출 확대, 필러 및 CMO 사업 성장으로 주가 상승 가능성 있음
투자 포인트
- 해외 시장 확대: 19개국 수출 진행 중, 동남아 및 미국 시장 진출 기대
- 필러 및 보툴리눔 톡신 사업 성장: 브라질 바디 필러 허가 기대
- CMO 사업 확대: 골관절염 치료제 '휴미아' 해외 시장 진출
- 재무 안정성: 부채비율 낮고, 현금흐름 안정적
- 배당 투자 매력: 배당성향 21.61%, 배당수익률 1.3%
결론
휴메딕스는 글로벌 시장 확대와 에스테틱 및 CMO 사업의 성장으로 향후 실적 개선이 예상됩니다. 3분기 실적은 일시적 감소였으나, 4분기부터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장기적으로는 필러 및 보툴리눔 톡신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와 CMO 사업의 성장성이 기대되며, 안정적인 재무 구조와 배당 정책도 긍정적인 투자 요소입니다.
휴메딕스가 안정적인 성장과 함께 2015년과 같은 제약·바이오 섹터의 동반 상승 흐름을 보일지 주목할 만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