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E의 뜻 계산법, ROE를 구성요소별로 분해하는 재무 분석 기법인 듀퐁분석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ROE는 워렌버핏이 사랑한 투자지표로써 투자자라면 꼭 알고있어야 하는 개념입니다. 

 

 

ROE의 뜻 

기업이 투입한 자본대비 얼마나 많은 이익을 내는 지를 확인하는 지표.

ROE는 주가와 상관없이 자본대비 얼마의 효율로 수익을 내는지 확실히 보여주는 지표.

 

 

ROE의 계산법

ROE = 당기순이익/자본총계(자기자본)          *자기자본 = 자본 - 부채

 

ex.

A 치킨집을 자본 1억으로 창업했다. 이번달 순수익이 1천만원. 

여기서 자기자본 1억,  당기순이익은 1천만을 나타낸다 

 

ROE = 당기순이익/자기자본 = 1천만/1억 = 0.1 =10%

 

 

B 치킨집을 자본 1억으로 창업했다. 이번달 순수익이 1백만원.

 

ROE = 1백만/1억 = 0.01 = 1% 

 

A치킨집이 B치킨집보다 10배 높은 효율을 보이고 있다 

즉, 일반적으로  ROE가 높은 기업이 매력있는 투자처. 

 

 

 

ROE 확인시 고려해야 할 사항.

ROE는 기업의 투자 매력 상승을 위해 조작이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ROE는 일반적으로는 높은 것이 좋습니다.

 

그럼 기업입장에서 높은 ROE를 만들기위해 분자에 위치한 당기순이익을 늘리던, 분모에 위치한 자기자본을 줄이면 됩니다. 또 자기자본은 자본-부채이니 자본을 줄이든 부채를 늘리면 됩니다

 

매출이 오르면서 같이 오르는 당기순이익이 가장 이상적입니다만 항상 비례해서 움직이지는 않습니다. 

 

1. 고ROE를 위해 매출과 별개로 당기순이익을 올리는 예시.

① 비용절감, 구조조정 등으로 회사에서의 지출을 감소시키면 당기순이익 상승. 

② 기업소유의 땅, 부동산 등 자산을 팔아서 그 분기의 순이익을 상승. 

하지만 이런식의 당기순이익의 상승은 지속적일수가 없다. 

투자자는 ROE가 꾸준히 높은지도 확인할 필요가 있다. 

 

2. 고ROE를 위해 자기자본을 떨어뜨리는 예시. 

ROE 공식의 분모에 위치한 자기자본(자산-부채)를 떨어뜨리면 ROE 값이 상승.

즉, 자본이 줄고 부채가 늘면 됩니다. 

부채를 늘리는 방법은 굳이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자본을 줄이는 방법은 배당입니다. 

배당은 합법적으로 기업의 자산을 분배해 자본을 줄이는 일입니다. 

(물론 자본을 줄여 ROE를 높이기 위해서만 배당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배당은 주주환원정책의 일환으로 좋은 현상입니다. )

 

당기순이익을 늘리고 자기자본을 줄이는 형식의 인위적으로 ROE를 높이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그러므로 ROE는 높으나 매출이 떨어지고 있는데 배당까지 많이 주는 종목이 있다면 투자에 신중하셔야 합니다. 

 

 

 

ROE 듀퐁분석

ROE를 구성 요소별로 분해하는 재무 분석 기법.

 

1920년대 '듀퐁'이라는 기업에 근무하던 전기 공학자 출신 도널드슨 브라운이 고안하여 재무 분석 기법으로 처음 사용. 

 

ROE = 당기순이익/자기자본 인데 순이익률x총자산회전률x재무레버리지 로 분해할 수있다. 

 

순이익률 = 수익성, 마진을 나타내며 당기순이익/매출액 으로 표현한다. 

 

총자산회전률 = 유동,고정자산의 효율적 이용을 나타내며 매출액/총자산 으로 표현한다. 

총자산회전률은 보통 제조업보다 유통업에서 수치가 높게 나온다. 

ex.

제조업. 

공장건설비용이 1000억인 기업에서 휴대폰 생산 매출액이 500억이다. 

총자산회전률 = 500/1000 = 0.5 =50% 

휴대폰 생산을 더 늘리기 위해선 공장설비 또한 늘어나야한다. 효율 높이기가 쉽지않다. 

 

유통업. 

총건설비용이 1000억인 마트에서 매출 2천억 = 2000/1000 = 2 = 200%

구조적으로 유통업이 순이익률(마진)은 적지만 제작된 물품을 가져다 판매하기에 총자산회전률은 높다. 

 

총자산회전률은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용하냐는 효율성의 지표. 

 

재무레버리지 = 기업의 안정성, 부채비율을 나타내며 총자산/자기자본 으로 표현한다

 

ex.

총자산 2천억 / 자기자본 1천억 = 200% 

재무레버리지는 회사의 부채를 보여줌으로써 회사가 얼마나 안정적으로 운영되는지를 보여준다. 

 

투자시 부채비율은 대체로 100% 이하가 안정적이라고는 하나 부채를 적절히 잘 이용하면 실제 투자금이 커지기때문에 훨신 높은 투자수익을 얻을 수있다.  

예를 들어 부동산 수익이 큰 이유가 절대적 수익률 때문이 아니라 레버리지를 이용한 금액의 덩치가 워낙 크니 수익의 상승폭이 큰 것이다. 

하지만 손실이 발생할 경우 부채(레버리지)의 비중이 높다면 손실 압력이 엄청나다. 

티스토리에서 분수 표시를 못해 사진 캡처했습니다. ㅠ

 

정리하자면 

① 기술이 좋은 기업은 순이익률이 높다. 순이익률이 높아지면 ROE가 높아진다. 

② 판매를 잘하는 유통기업은 총자산회전률이 높다. 총자산회전률이 높으면 ROE가 높아진다. 

③ 컨트롤 가능한 범위내에서 부채를 적절히 사용하면 ROE를 높일 수있다. 

 

 

 

결론

저도 ROE 수치가 높다는게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다라고 막연히 알고있었지만 오늘에서야 진짜 의미를 알게되었습니다. 

투자를 하는데 또 하나 고려할 수있는 지식을 알게된 시간이었습니다. 

보고 계시는 분들도 ROE 지표를 잘 이용하는 슬기로운 투자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