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사채 뜻 발행이유 향후 주가영향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투자를 하다 보면 종종 듣는 용어입니다. 개념을 잡고 넘어가면 좋을 거 같습니다. 

 

뜻  정의  의미

전환사채(Convertible Bond) = CB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회사의 채권.(전환 안 할 수도있습니다.)

 

기본개념을 잡기 위해 기초부터 설명해 보겠습니다. 

 

a, b라는 친구가 있습니다. 

a " b야, 1억만 빌려줘 "

b " 빌려줄게 각서 작성해 그럼 "

여기서 각서가 채권의 개념입니다. 

 

 

기업 간 제품으로 설명. 

판매회사 A  제조회사 B가 있습니다. 

A " 제품 100개 주문할게 보내줘. 돈은 다 팔고 6개월 있다가 줄게 "

B " 그럼 채권 발행해서 줘 "

A는 매출채권을 발행해 B에게 준다. 그리고 제품 100개를 받는다. 

B는 돈은 받지 않고 대신 채권을 받았다. 이것은 매출에 포함이 된다. 

 

 

기업 간 돈으로 설명.

A " B회사 돈 100억 빌려줘 "

B " 채권 발행해 줘 "

여기서의 채권 = 회사에서 발행한 채권 = 사채 

 

 

전환사채 설명. 

A " B회사, 돈 100억 빌려줘 "

B " 아 그냥 원금+이자만 받고 빌려주기 별론데.. "

A " 그러면 우리 회사 주식을 지금 시세보다 싼 가격에 줄게 ,, 지금 주가가 한주에 12000원인데 10000만 원으로 계산해서 100억/10000= 100만 주 전환할 수 있는 채권으로 줄게.

그럼 만기에 원금+이자 받던지 아니면 주가가 오르면 주식을 매도해서 시세차익 남기도록해."

B " ㅇㅋ"

그림 

 

 

전환사채발행과 관련한 여러 가지 상황 

 

상황 1

B " 만기인 27년까지 갚아라고 했는데 너희 회사 사정 보니까 그때 못 갚을 거 같다. 지금 갚아라! "

또는

" 우리 회사 사정이 안 좋은데 지금 갚아라! "

 

A기업은 B기업에게 돈을 갚아야 하나?

 

풋옵션(조기상환청구)이 설정되어 있으면 가능하다. 

 

 

상황 2

A 회사의 주가가 12000원에서 15000원으로 상승.

B " 100억 갚지 말고 채권에 적혀있듯이 1주에 10000원으로 해서 주식으로 줘! , 100억/10000 해서 100만 주 발행해서 줘 "

현 주가 15000원 x 100만주 = 150억         50억 이익.

이것을 전환청구권행사라 한다.

 사진

 

 

상황 3

주가가 12000원에서 9000원으로 하락.

B " 1주에 10000원으로 주기로 했는데 지금 주가 9000원이다. 더 싸게 해 줘! "

 

A 회사는 더 싸게 해줘야 하나?

 

전환가액 조정(리픽싱)이 설정되어 있으면 가능하다. 

 

 

 

상황 4

만기가 도래하기 전 A회사 상황이 좋아져 돈을 빨리 갚기를 원하는 상황. 

A " 27년이 만기인데 지금 갚을게, 우리가 발행한 전환사채(채권) 매도해라! "

 

A회사는 빨리 갚을 수 있나?

 

콜옵션(조기매도청구권) 설정되어 있으면 가능하다. 풋옵션의 반대 개념.  

 

 

 

 전환사채 발행의 이유

좋은 의미로는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기업 입장에서 

(주가가 떨어지면 회사채로 보유하여 안전하게 원금+이자를 받으면 되고

주가가 오르면 주식으로 전환하여 시세차익을 낼 수 있는 이점을 이용하여) 

회사에 필요한 자금을 수월하게 마련할 수 있다. 

  

또 운영비, 생산설비 확장 등 단기적으로 회사에서 마련할 수 없는 돈을 필요로 할 때 전환사채를 발행하기도 한다. 

 

나쁜 의미로는 

부채상환하기 위해 전환사채를 발행해 돈을 확보.(돌려 막기하고 있는 상황)

 

그 외 전환사채 발행으로 인한 부정적 상황 

인수자가 전환사채를 인수한다. → 가짜 뉴스 유포 → 주가가 급등 → 주식전환 대량 매도 → 주가 급락. 

(꼭 가짜 뉴스 등  부정적 상황 아니라도 주식 전환에 따른 주식수가 증가하게 되면 보유 주식 가치가 하락 → 개인투자자의 손해로 이어진다.)

 

 

 

전환사채(CB) 발행 이후 주가 영향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환사채를 발행하게 되면 주식 하락이 일반적입니다. 

그럼 예외적으로 상승하는 경우를 몇 가지 알아보겠습니다.  

 

ex.1

기업의 상황이 아주 안 좋은데 전환사채 발행에 성공하는 경우. 

A기업 시장평가가 아주 부정적(상장폐지 예정)

하지만 어떤 이유에서건 전환사채발행에 성공 → 자금이 마련되어 당장의 상폐 우려 해소 → 호재로 인한 주가 상승 

 

ex.2

의미 있는 투자자의 전환사채 발행 참가. 

B기업 유명하지 않은 2차 전지 회사. 

전환사채 발행 (삼성 SDI, LG에너지솔루션 등 2차 전지 관련 대기업이 전환사채 발행에 참여 소식)

시장평가 여러 가지 의미를 부여하며 긍정적 반응 → 주가 상승.

 

ex.3

금리 0%의 전환사채 발행에 성공 

전환사채도 채권의 일종. 그렇다면 이자를 받아야 한다. 

하지만 금리가 0%로라는 말은 주식가격이 올라야만 이득을 볼 수 있다는 의미. 

즉, 투자하는 측은 주가가 오를만한 기업의 전환사채 발행에 참여한 것.

(이것은 베팅의 느낌이 강하다.)

 

또는 관계회사의 참여 등으로 굳이 이자를 주지 않아도 되는 상황에서의 전환사채 발행.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