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 배당성향, 배당락, 배당수익률 등 배당과 관련된 여러 용어 그와 관련된 예시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배당의 개념

기업에 투자한 금액(매수한 지분)만큼 기업 수익의 일부를 나누어 돌려받는 것. 

 

예시

친구의 부탁으로 친구가 하려는 사업에 내 돈을 투여하는 방법은 2가지입니다. 

1. 빌려주는 것 - 채무관계가 형성되며 원금+합의된 이자를 돌려받고 채무관계는 종료된다. → 기업의 채권과 비슷

2. 투자 - 먼저 원금보장이 되지 않습니다. 사업의 성과 유무가 크게 작용합니다. → 배당을 받는다 (투자한 지분만큼) 

 

 

배당의 종류

순수익이 1000만원인 회사에서 이 돈의 사용처로는 2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1. 회사 투자 및 운영 자금으로 남겨둔다. → 사내유보금 

2. 주주에게 투자 비율대로 나누어 준다. → 배당

 

배당에는

계좌에 현금으로 들어오는 현금배당

장점 - 현금으로 바로 입금. 직관적으로 기분이 좋습니다.  

단점 - 배당소득세 15.4%를 제하고 계좌에 입금이 됩니다. 

 

종목 주식수가 늘어나는 주식배당

장점 - 세금이 따로 발생하지 않습니다. 

단점 - 종목의 주식수가 늘어나면서 시총이 상승하고 거기에 따른 약간의 조정을 받아 주가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또 굳이 이 종목을 더 매수할 의향이 없는데 주식배당을 통해 주식수가 늘어나는 것이 달갑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배당성향 

순이익 중 배당으로 얼마(순이익의 몇 프로)쓰는지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주주총회결의를 통해 결정됩니다. 

 

예시

순이익이 1000만원인 회사가 사내유보금으로 600만 원 배당으로 400원 결정했다. 

배당성향은 어떻게 되나?

배당성향 = 배당금 / 당기순이익 X 100 = 400 / 1000 X 100 = 40%

배당성향은 40%

 

*삼성전자의 배당성향 

삼성전자 23년 예상 배당성향 88.86

현금 DPS - 한 주당 얼마 주는지

배당수익률 -  2.61%(22년 기준  여기에 배당소득세 15.8% 제하고 입금된다)

 

네이버증권 → 종목분석 → 기업현황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https://finance.naver.com/item/coinfo.naver?code=005930 

 

네이버 증권

국내 해외 증시 지수, 시장지표, 뉴스, 증권사 리서치 등 제공

finance.naver.com

 

 

 

주의 사항 

배당성향의 높고 낮음에 따라 주의할 부분이 있습니다. 

배당성향이 높은경우 - 기업의 순이익에서 주주들에게 나누어 주는 몫이 많습니다. 즉 주주환원에 적극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주들에게 회사의 수익을 다 나눠주게 되어 사업에 대한 재투자 비용이 없어 미래 수익의 성장이 낮아지고, 사내유보율이 낮아 재무구조가 악화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배당성향이 낮은 경우 - 기업의 순이익을 주주들에게 나눠주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게 쌓인 돈이 주주들이 원치 않는 곳에 쓰일 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사내유보금이 쌓이기 때문에 다른 기업에 투자나 연구 개발 비용 등 돈이 들어가야할 곳에 즉시 투여될 수 있습니다.  

 

 

배당기준일

배당 권리가 생기는 날.

(하루에도 수많은 매도 매수가 이루어지는데) 어떤 주주들에게 배당을 나눠줘야하는지 그 기준을 잡는 날 

특정 날짜에 주식을 보유한 주주들에게 배당을 주는 날(보통 12월의 마지막 날)

주의할 점 

31일은 휴장. 

배당기준일 30일.

하지만 30일에 주식을 매수한다고 배당을 받을수 있는 건 아닙니다. 

주식시장에서는 +2일의 개념이 존재합니다. 

오늘 매도한다고 해서 돈을 바로 찾을 수 없습니다. 이틀 뒤에 현금을 찾을 수 있습니다. 

매수 역시 HTS, MTS에 표시는 되지만 실제 결제일은 이틀 뒤입니다. 

즉 28일까지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2일뒤 기준일인 30일에 보유한 것으로 인정됩니다.

다시 말하지만 29일 30일에 매수한다고 배당이 나오지 않습니다. 

 

 

 

배당락

정확한 의미로는 배당 받을 권리가 사라지는 것입니다. 

보통 통용되는 의미는 배당확정 마지막날 (28일) 이후 주가가 떨어지는 것입니다. 

흔히 하는 실수는 배당기준일의 다음 날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배당기준일 당일(30일), 하루전날  매수해도 배당받을 권리는 생기지 않습니다. 

 

주의할 점 

배당기준일은 매해 30일은 아닙니다. (주말 등 여러 변수가 있습니다)

최근 몇 년 앞으로 몇년 표로 준비해 봤습니다.

배당주식 2021 2022 2023 2024 2025
배당기준일 12.30(목) 12.29(목) 12.28(목) 12.30(월) 12.30(화)
배당락일 12.29(수) 12.28(수) 12.27(수) 12.27(금) 12.29(월)
매수시기 12.28(화) 12.27(화) 12.26(화) 12.26(목) 12.26(금)

 

 

배당률  배당수익률  시가배당률

미리 알아두면 좋은 개념들 (액면가 발행가 시장가)

[경제 금융 투자 주식 트렌드] - 액면가 발행가 시장가(시가)

 

액면가 발행가 시장가(시가)

액면가 발행가 시장가(시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식 종목 분석을 쉴때에도 공부를 소홀히 하면 안됩니다. 액면가 정의 주권 표면에 표시되어 있는 가격. 증권상에 표시된 권리의 명목상

gaengsta.tistory.com

배당률 - 액면가에 대해서 지급되는 배당금의 비율 

= 배당금 / 액면가 X 100

기업에서 1주당 100원을 배당하고 액면가가 100원이면 

100 / 100 X 100 = 100% 배당률 

 

배당수익률 - 시장가에 대하여 지급되는 배당금 비율 

= 배당금 / 현재주가 X 100 

 

시가배당률 -  배당기준일 주가에 대하여 지급되는 배당금 비율 

배당기준일의 종가가 10000원 1주당 배당금 100원이라면 시가배당률 1%

 

 *참고

22년 12.30 배당기준일 주가와 오늘날짜 23.8.3의 주가가 같다면 시가배당율 = 배당수익률

배당기준일 보다 오늘 주가가 더 낮은 상태이면  시가배당율 < 배당수익률

배당기준일 보다 오늘 주가가 더 높은 상태이면  시가배당율 > 배당수익률

ex. 배당기준일 주가 10000원이고 오늘 주가가 20000원인데 배당금은 1000원이다 

시가배당률 = 1000 / 10000 x 100 = 10%

배당수익률 = 1000 / 20000 x 100 = 5%

시가배당률 > 배당수익률

 

 

 

네이버 증권

국내 해외 증시 지수, 시장지표, 뉴스, 증권사 리서치 등 제공

finance.naver.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