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흐름표 보는 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인 투자자들이 흔히 보는 손익계산서보다 현대에는 더 중요하게 여겨지는 현금흐름표를 공부해 봅시다. 

 

현금흐름표의 개념.

기업의 현금흐름을 알려주는 표. 

현재 기업의 자금 동원 능력을 평가할 수있는 자료.

현금흐름표는 실제로 현금의 이동이 있어야 표기

(매출-비용=수익,이익 but 외상이든 뭐든 돈 입금이 안되면 손익계산서상 이익이 났지만 → 흑자부도의 가능성있다.)

 

현금흐름표의 구성.

① 영업활동으로인한 현금흐름. 

② 투자활동으로인한 현금흐름.

③ 재무활동으로인한 현금흐름. 

 

영업활동으로인한 현금흐름

 기업이 주요 수익 창출활동(판매수익)을 하면서 발생하는 현금의 유입 및 유출을 뜻한다. 

 영업부문 현금 창출력을 판단할 때에는 영업이익보다 영업활동 현금흐름을 확인하는 것이 더 유용하다. 

 영업활동 현금흐름 작성법에는 현금이 수반되지 않는 비용이 포함되기 때문에 직접 계산하기 복잡해 진다. (다 계산된 표   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업활동 현금흐름 플러스인 경우 - 판매수익으로 돈을 벌었다는 의미. 

 영업활동 현금흐름 마이너스인 경우 - 판매로 인해 오히려 손실 봤다는 의미. 

  ex. 원자재값의 상승으로 팔 수록 손해보는 장사 

 

 

투자활동으로인한 현금흐름. 

 일반적으로 성장회사들은 기업의 지속적인 혁신, 성장을 위해 계속 투자하기 마련이기에 투자활동 현금흐름이 마이너스   인 것이 좋다.(하지만 개인도 투자 실패가 있듯이 기업도 헛지랄? 하는 경우가 없지 않다.)

 최악의 상황으로는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마이너스이면서 지속적으로 투자활동 현금흐름이 플러스인 경우이다. 즉, 회사   의 자금이 부족해 자산을 처분해서 현금을 마련하고 있다고 추측이 가능하다. 

 

 투자활동 현금흐름 플러스인 경우 - 생산장비, 시설부지, 무형의 노하우 등의 자산을 팔아서 자금을 충당한다는 의미. 

 투자활동 현금흐름 마이너스인 경우 - 생산시설, 장비 늘리거나 유지보수 하는데 자금을 투여한다는 의미. 

 

 

재무활동으로인한 현금흐름. 

 기업들은 회사의 발전 성장을 위해 항상 현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성장에 필요한 자금을 어떤 형식으로든 조달   하게 되는데 이때 돈을 빌려서 회사로 자금이 들어오면 플러스로 표기, 그 돈을 갚아서 회사에서 자금이 빠져나가면 마이   너스로 표기한다. 

 

 재무활동 현금흐름 플러스인 경우 - 모자라는 자금 또는 새로운 투자를 위해 은행에서 대출을 받았다는 의미. (현금이 회   사로 들어옴.)

 재무활동 현금흐름 마이너스인 경우 - 은행에서 빌린 돈을 갚거나, 주주에게 배당으로 돈을 푼다는 의미. (현금이 회사에   서 빠져나감.)

 

 

결론

1. 안정적인 회사

영업활동현금흐름 +  투자활동현금흐름 -  재무활동현금흐름 -

→ 돈을 벌어서 투자하고 빚도 갚다.

 

2. 성장중인 회사 

영업활동현금흐름 +  투자활동현금흐름 -  재무활동현금흐름 +

→ 번 돈, 빌린 돈 계속 투자해서 규모를 키워나가는 회사. 

 

3. 어려움겪고있는 회사 

영업활동현금흐름 -  투자활동현금흐름 +  재무활동현금흐름 +

→ 자산 팔고, 대출해서 영업 적자 모면하고 있는 회사

 

이론적으로는 이렇게 설명할 수 있으나 

테슬라, 아마존도 초창기에 3의 현금흐름을 장기간 보였지만 현재는 초일류 기업으로 성장했다. 

이렇듯 투자는 어느정도의 리스크를 안고가야 하지만 

우리같은 개인투자자들은 안정적이고 마음편한 투자를 위해 현금흐름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 Recent posts